미주신경성실신 원인은?
환자분의 History taking 중 미주신경설실신 (vasovagal syncope) 이란 단어가 나와서, 실신에 대한 원인에 대해서 오늘은 포스팅을 해볼까 한다.
미주신경성 실신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기절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그냥 기절 했다고 하면, 이 미주신경성실신이라고 알면 되겠다. 영화에서 장례식장에서 아들을 먼저 보낸 어머니가 갑작스럽게 기절하는 장면을 보았다면 그런류의 기절이 미주신경성실신이다.
우리 몸에 있는 혈액이 흐르도록 만드는 통로인 혈관 자체가 커지게 됨으로써 심장이 뛰는 심장박동이 느려지는데, 이게 머리로 가는 혈액을 늦춰지게 만듬으로써 기절을 일으킨다.
자 쉽게 말해서~!
극도의 스트레스적인 요소나 감정적인 스트레스를 받아서 잠시나마 피(혈액)가 뇌로 많이 들어가지 못해서 몸이 기절반응을 일으킨것이다.
보통은 심장박동과 혈압의 상관관계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반응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혈압이 낮아지는것과 관련이 있다.
미주신경성실신 전조증상
보통은 의식을 잃기 전에, 빈번하게 가벼운 두통, 어지러움, 매슥거움, 울렁거림 또는 매우극도의 뜨거움이나 차가움, 이명현상, 심장의 불편함, 혼돈, 말하기 힘듬, 검은구름과 같은게 눈앞에 보이는 현상 같은게 생길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앉아있거나 서있을 때 일어난다.
미주신경성기절 관리 할 수 있을까?
2002년에 나온 오래된 논문이긴한데, 구글에서 쉽게 서치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최근 기절경험이 있는 21명의 대상자에게 뭔가 느낌이 오기전 30초동안 아래 그림에 나와 있는 Leg crossing & muscle tension 훈련을 시켰고 지속적으로 혈압과 맥박을 측정하였는데...놀라운 결과가 나왔다.
Leg crossing & muscle tensing
그건 바로... 혈압이 올랐다...! 증상이 있을 때 이 운동을 했더니 증상이 사라지고, 혈압이 증가했다.
측정결과 혈압은 -> 확장기혈압 65 -> 106 이완기혈압 43 -> 65 까지 올랐다고 한다.
결론 - 미주신경성실신 예방법
결론적으로 논문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운동법을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에 30초간 시행한다면 실신을 지연시킬 수 도 있다 라고 하였다. 그러니깐...논문은 항상 모든 사람이 100%가 적용된다는말이 아니다. 5%는 안될수도 있다. 하지만 좋은 정보임에 틀림없다. 기절증상이 있거나 실신할거 같은 상황에서 혈압을 올려 실신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니, 참고하시고 도움이 되셨으면 한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