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손가락 변형 1) 뒤피트렌 (Dupuytren) 구축 쉽게 이해하기.

재활치료 이야기/손가락 재활 이야기

by Vivctttor 2021. 1. 4. 08:00

본문

1. 듀피트란, 뒤피트렌, 두피트랑 (?) 한글로 이야기하기 어렵다. Dupuytren 구축이라고 부른다. 손가락 질환들은 발음하기가 여간 쉽지가 않다. 바이킹질환 또는 Celtic 핸드 라고도 하는데 오래전부터 바이킹족들이 가지고 있던 질환이라고 해서 그렇게 이름 붙여졌다. 19세기에 프랑스의 외과 의사인 기욤 뒤 피트렌 이름을 따서 뒤피트렌 이라고 이름 지어졌다.  

작고 단단한 결절

2. 보통은 작고 단단한 결절 같은 것이 손바닥의 피부쪽에 생기고 진행되어 굽힘근으로 가게 된다. 이부분이 단단해지면서 Fibrous 현상이 진행된다. 당연히 굽힘근쪽 결절(단단하게 뭉치는)이 생겨버리니 굽힘근이 줄어들게 되고 줄어든 굽힘근으로 인해서 손가락이 굽혀진다.

 

한 번 4번째 손가락을 혼자 구부려보자. 3, 5번째 손가락이 자동으로 조금씩 구부려지지 않는가? 손가락의 근육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엄지손가락과 같이 단일하게 근육이 있지 않는 한 주변의 손가락으로까지 연결되어 움직임이 제한된다. 제일 영향을 많이 받는 손가락은 4,5번째 손가락이다. 주로 약지. 

 

3. 원인은 알수가 없다. 너무 다양한데, 유전적영향, 알코올, 흡연, 갑상선, 간 질환, 당뇨병, 전에 있었던 손가락 외상 및 간질이 있을 시 생길 수 있다. 

 

4. 치료는 주로 스테로이드 주사, 수술, 물리치료적 요법 등이 있다. 

 

5. Table-Top-Test 양성이면 치료가 필요하다. 환자는 테이블에 손을 얹는다. 손이 테이블 위에 완전히 평평하게 놓여 있으면 테스트는 음성으로 간주한다. 손을 테이블 위에 완전히 평평하게 놓을 수없고 테이블과 손의 일부 사이에 볼펜 지름만큼 큰 공간을 남겨두면 검사가 양성으로 간주되고 수술 또는 기타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6. 종합해보면 듀피트렌질환은 4,5번째 손가락의 굽힘근의 MCP관절 쪽에 결절이 생겨 굽힘근이 뭉치면서 줄어드는 현상으로 변위가 되는 질환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